ESG 지속가능경영지원

UN SDGs 협회의 맞춤형 지속가능경영 전략 제공

 

 

국내외 각 기업이 속한 산업군에 맞는 맞춤형 지속가능경영 전략을 제공합니다.

 

▷ 미국, 유럽(EU), 개도국(아프리카, 남미, 동남아) 시장에 대한 조사 및 자문

▷ SDGs, ESG 국제가이드라인 및 정보 제공

▷ TCFD / TNFD / ISSB 자문

▷ CF100 (24/7 Carbon-Free Energy) 탄소중립, 탄소저감 자문

▷ 유럽연합(EU) 주요 환경 규제 자문

▷ 유럽연합(EU) 에코라벨 인증 자문

▷ UN 10YFP 지속가능한 식량 프로그램 관련 자문

▷ UN Energy Compact(유엔 에너지 콤팩트) 관련 정보 제공

▷ 유엔환경계획 자문지위 비영리기관으로써 유엔 환경 관련 캠페인 소개 및 참여

▷ EU기후협약대사 캠페인 안내 및 EU 녹색수도 전시

▷ 지속가능성 관련 주요 국제기관 협력 및 글로벌 활동 지원

▷ 회원사의 ESG Vision 및 지속가능경영 목표설정을 위한 자문

▷ 회사 홈페이지의 ESG 관련 내용 및 SDG 맵핑 자문

▷ SDGBI(지속가능발전목표경영지수) 우수그룹 추천

▷ ‘글로벌 지속가능 100’ (리더/기업/브랜드) 주요 부문 추천

▷ 언론 보도 협력

▷ 지자체 네트워크

 

□ [지속가능개발목표경영지수]
SDGBI(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Business Index)

SDGs(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)기반으로 분석된 글로벌 기업 ESG 경영분석, 평가지수

■ UN HLPF(유엔 지속가능 고위급 정치회담)의 HLS(장관급 회담)에서 의견서(E/2019/NGO/91)로 소개되어 accepted 된 글로벌 지속가능경영지수

■ UN SDGs 협회(유엔 경제사회이사회 특별협의지위기구)가 2016년부터 매년 10월 발표하고 있으며, 글로벌 주요 기업의 ESG 투자와  SDGs 이행 기준과 지속가능경영기준을 제시하고 있음

■ 글로벌 기업 3000개와 국내 500개 기업을 분석한 뒤 ‘월드지수 300’, ‘국내지수 180’ 명단을 발표

■ 사회와 환경, 경제, 제도 등 4개 분야의 12개 항목, 48개 지표(100점 만점)로 분석

■ 매년 유엔총회(UNGA)기간(9월~11월) 중 10월 셋째 주에 발표됨

 

□ [‘글로벌 지속가능 리더·기업·브랜드 100’ 발표]
‘Global Sustainable Leaders 100’ & ‘Global Sustainable Brands 100’

■ 2019년 뉴욕 유엔 본부에서 개최된 ‘UN 지속가능을 위한 고위급 정치회담(UN HLPF 2019)’의 전시기관(Exhibitions Organizer for UN High-Level Political Forum)으로 UN SDGs 협회가 선정되면서, 동일 주제로 유엔 본부에서 전 세계를 대상으로 ‘글로벌 지속가능 100(Global Sustainable Leaders 100)’을 발표.

■ 2020년 발표부터는 코로나 대응 우수기업 및 소비자 추천 우수 브랜드도 함께 발표.

■ 10개 기준, 43개 지표으로 전세계 3000개 주요기업과 2000명 주요 리더 중 각각 100곳, 100명 선정

 

□ [SRC  : ESG 이행 우수기업 글로벌 기관투자자, 추천의견 리스트 ]
Statement list of Recommendation ESG Global Corporate Excellence through SDGs

UN SDGs 협회는 글로벌 ESG 기준, 원칙, 규정을 한 번에 담은 기업용 ‘ESG 자가진단 키트, SRC’를 발간하여, 국내외 주요 회원사 및 파트너 기업에 제공하고 있습니다.

이 키트에는 ▷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(UN SDGs) ▷EU 지속가능금융 10대 행동계획 ▷EU 택소노미 6가지 환경목표 및 3가지 판단조건 ▷국제자본시장협회 ESG 채권 원칙 및 SDGs 연계기준 ▷기후 위임법률 관련, EU 택소노미상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목표에 기여하는 경제활동 ▷플라스틱 저감 및 지속가능한 해양환경 조성을 위한 글로벌 기후대응 가이드라인 GRP 인증 ▷OECD 리우 마커스 ▷EU 기업지속가능성보고지침 ▷중국 택소노미(China’s catalogues) ▷다자간 개발은행(MDB) 공동원칙 뿐 아니라 새로운 ESG 회계기준으로 자리잡을 국제지속가능성표준위원회(ISSB),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(2021 COP26) 및 6조에 대한 설명, 중소기업을 위한 ESG 가이드, 그린에너지전환에서 주목받고 있는 SMR 소형원자력 기업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.

또한 ▷EU그린딜 ▷EU 그린택소노미 ▷EU 소셜택소노미 ▷탄소무역시장정보, ▷탄소국경세 ▷파리기후협약 및 COP26 설명 ▷ESG채권 발행과정 등을 비롯해 ▷한국형 ESG 가이드라인 ▷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(K-taxonomy)에 대한 부연설명도 추가되며, 기업 스스로 EU(유럽연합), 미국, 중국 등 주요국의 ESG 관련 규정을 손쉽게 체크하고, 동시에 국내 규정과 현황도 함께 살펴볼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 특징입니다.

ESG-SRC 키트는 매년 7월 UN SDGs 협회가 글로벌 금융시장 및 주요 투자 금융에 ESG 우수기업으로 추천하는 ‘SRC 리스트’의 바탕 자료로 활용되며, SRC는 협회가 발표하는 ‘ESG-SDGs 연계 우수기업 추천 리스트(Statement list of Recommendation ESG Global Corporate Excellence through SDGs)’로써 글로벌 자본시장에 전달됩니다. 협회와 파트너십을 가진 각 기업은 자가진단키트를 통해 현재 자사의 ESG 활동을 체크하여, 국제 기준에 부합되는지 살펴볼 수 있고, 이를 토대로 국내외 자본시장 및 투자시장 등에 ESG 우수기업으로 추천받을 수 있습니다.

SRC소개 1    /  SRC소개 2   

 

 

지속가능경영 우수모델 유엔 위원회에 소개, 제출

협회는 그동안 유엔 위원회에 18회의 의견서를 제출하였습니다.

 

◇ 2015 ECOSOC HLPF, High-Level Segment – 2015.7. 2015 유엔 HLPF
◇ The 60th session of the Commission on the Status of Women – 2016.4. 60차 유엔여성지위위원회
◇ 2016 ECOSOC HLPF, High-Level Segment – 2016.7. 2016 유엔 HLPF
◇ The 55th Session of the Commission for Social Development – 2017.2. 55차 유엔사회개발위원회
◇ The 16th Session of the Committee of Experts on Public Administration – 2017.4. 16차 유엔공공행정전문가위원회
◇ The 56th Session of the Commission for Social Development – 2018.2. 56차 유엔사회개발위원회
◇ The 51st Session of the Commission 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– 2018.4. 51차 유엔인구개발위원회
◇ 2018 ECOSOC HLPF, High-Level Segment – 2018.7. 2018 유엔 HLPF
◇ The 52nd Session of the Commission 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– 2019.4. 52차 유엔인구개발위원회
◇ 2019 ECOSOC HLPF, High-Level Segment – 2019.7. 2019 유엔 HLPF
◇ The 64th Session of the Commission on the Status of Women  – 2020.3. 64차 유엔여성지위위원회
◇ The 53rd Session of the Commission 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– 2020.4. 53차 유엔인구개발위원회
◇ The 59th Session of the Commission for Social Development – 2021.2  59차 유엔사회개발위원회
◇ The 54st Session of the Commission 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– 2021.4. 54차 유엔인구개발위원회
◇ The 66th Session of the Commission on the Status of Women  – 2022.3. 66차 유엔여성지위위원회
◇ The 55rd Session of the Commission on Population and Development – 2022.4. 55차 유엔인구개발위원회